rapae의 블로그

여러가지 유용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 2025. 4. 7.

    by. rapae

    목차

      반응형

      AI 기반 청년농업인 생애주기 관리서비스 총정리

       

      농촌진흥청은 2025년부터 AI 기술을 활용한 ‘청년농업인 전 생애주기 관리·지원 서비스’를 도입해 농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농업백과, 농업교육, 영농설계, 스마트 알림 등 네 가지 핵심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맞춤형 정보와 영농 계획, 병해충 정보, 기상특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농업기술 포털 ‘농사로’와 앱 ‘최신농업기술알리미’를 통해 제공되며,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 청년 귀농·귀촌의 정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농업이 기술과 데이터 중심 산업으로 변화하는 흐름에 청년층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게 되었다.

       

       

      1. 청년농업인의 현실과 지원의 필요성

      한국 농촌은 고령화와 인력난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습니다.
      젊은 인구의 농촌 유입은 지속 가능한 농업의 핵심이지만, 귀농·귀촌을 결심한 청년들은 정보 부족, 초기 자본, 기술 부재라는 3중고에 시달립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청년농업인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지원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바로 ‘청년농업인 전(全) 생애주기 관리·지원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영농 초기부터 성장 단계까지, 농업의 A부터 Z까지를 인공지능이 함께 지원하는 스마트 농업 플랫폼입니다.


      2. 인공지능 기반 ‘전 생애주기 관리·지원 서비스’란?

      농촌진흥청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하여 개발한 이 시스템은
      청년농업인의 영농 경험 부족과 정보 접근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했습니다.

      ▶ 총 4가지 핵심 기능으로 구성됨

      1. 농업백과
      2. 농업교육
      3. 영농설계
      4. 스마트 알림 서비스

      이 시스템은 농업기술포털 ‘농사로(www.nongsaro.go.kr)’ 및 앱 ‘최신농업기술알리미’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핵심 기능 ① 농업백과 – AI 챗봇으로 실시간 영농정보

      농업백과는 AI 챗봇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언제든지 농업 관련 질문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농사로에 등록된 공신력 있는 영농자료를 기반으로 학습
      • 시기별 재배 기술, 작물별 병해충 관리, 토양관리 방법 등 질문 가능
      • 비전문가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 설계

      이는 특히 정보가 부족한 영농 초보 청년층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4. 핵심 기능 ② 농업교육 – 추천형 콘텐츠 학습 시스템

      AI는 사용자의 관심사와 학습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 동영상 기반 교육 콘텐츠 제공
      • 챗봇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묻는 질문에 맞는 학습 영상 연결
      • 농촌진흥청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계된 콘텐츠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실질적인 학습과 역량 향상까지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5. 핵심 기능 ③ 영농설계 – 귀농 초기 안정화 도구

      영농설계 기능은 청년농업인의 초기 귀농·귀촌 정착을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AI가 최근 10년간의 농업소득 데이터를 분석해 적합한 작목을 제안하고 재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지역별 작물 소득 비교
      • 작물별 리스크 분석
      • 초기 자본과 노동력 기준 맞춤 설계 제공

      청년농업인이 첫 발을 안정적으로 내딛을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6. 핵심 기능 ④ 스마트 알림 – 실시간 재해·병충해 정보

      스마트 알림 기능은 기상특보, 병해충 발생 정보, 재배 작목별 관리일정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줍니다.

      • 농작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전 경고 시스템
      • 위치 기반 및 작물 기반 알림 제공
      • 정부의 재해 대응 매뉴얼 연계

      AI가 자동으로 농가에 정보를 푸시하는 형태로,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수신 가능합니다.


      7. 앱 사용법 및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소개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최신농업기술알리미’ 앱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기존 사용자라면 앱이 자동 업데이트되어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습니다.

      또한 농사로 포털(www.nongsaro.go.kr) 에서는 영농 자료, 뉴스, 정책, 교육정보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8. 디지털 전환과 농업 혁신의 미래

      이제 농업도 데이터 중심 산업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청년농업인 지원 플랫폼은 디지털 전환의 시발점으로, 기존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청년층을 농촌으로 이끌어들이는 ‘스마트 농업의 진입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기술 기반 농업은 지속 가능성과 생산성을 높이며, 환경보호와 에너지 효율성도 함께 개선할 수 있습니다.


      9. 마무리 – 기술과 농업의 만남, 청년의 기회를 만들다

      ‘청년농업인 전 생애주기 관리·지원 서비스’는 단순한 앱이 아닙니다.
      이는 농업을 단절된 산업이 아닌, 기술과 사람을 연결하는 성장 생태계로 전환시키는 출발점입니다.

      누구나 도전할 수 있고, 누구나 성장할 수 있는 환경.
      그 중심에 기술과 청년, 그리고 데이터가 있습니다.

      지금, 농업의 미래는 여러분의 손 안에 있습니다.

      반응형